티스토리 뷰
2021년 한 해 도안 보이스피싱으로 발생한 피해금액만 1,682억 원으로 전년(2,353억 원) 대비 671억 원 감소했다는 통계가 있는데요, 보이스 피싱당한 것 같을 때 어떻게 확인할 수 있는지 경찰 신고 외 다양한 방법을 담아보았습니다.
1. 피싱 등 범죄 의심 전화·문자만 받은 경우
▷ 네이버 등 '인터넷 보호나라' 검색
→ '피싱·스미싱 사고' 클릭, 휴대폰 번호 입력
☎ 118 (한국인터넷진흥원)
2. 노출된 개인정보가 범죄에 악용될 우려가 있는 경우
▷ 네이버 등 '개인정보 노출자 사고예방 시스템' 검색
→ '개인정보 노출 등록 및 해제신청' 클릭
☎ 1332 (금감원 콜센터)
3. 명의 도용된 휴대전화 개설 여부 조회
▷ 네이버 등 '엠세이퍼' 검색
→ '가입사실현황조회 서비스' 클릭
→ '가입제한서비스' 클릭(온라인상 신규가입 사전 차단)
☎ 1670-1382 (한국 정보통신 진흥협회)
4. 노출된 개인정보가 범죄에 악용될 우려가 있는 경우
▷ 네이버 등 '계좌정보통합관리서비스' 검색
→ '계좌통합조회', '대출정보 조회' 클릭
→ '카드정보 조회' 클릭
☎ 1577-5500 (금융결제원)
5. 털린 내 정보 찾기 서비스
▷ 네이버 등 '털린 내 정보 찾기' 검색
→ '유출여부 조회하기' 클릭
☎ 070-4147-6526 (개인정보보호위원회)
6. 웹사이트 회원가입 여부 조회 및 탈퇴 서비스
▷ 네이버 등 'e프라이버시 클린 서비스' 검색
→ '본인확인 내역 조회', '웹사이트 회원 탈퇴' 클릭
☎ 1433-25 (한국인터넷진흥원)
7. 휴대폰에 악성 앱이 깔렸는지 여부 확인
▷ 안드로이드 악성코드 탐지 프로그램(v*, 알* 등) 어플 설치(아이폰 X)
→ '보안검사', '돋보기 아이콘' 클릭
→ '악성앱 발견되면 삭제 버튼' 클릭
8. 주민등록번호 변경 신청
▷ 네이버 등 '주민등록번호변경위원회' 클릭
→ '신청서·입증자료' 등 서류 준비해서 주민센터 방문
→ 처리 기한 90일
보이스피싱 범죄는 '나와 가족에게' 일어날 수 있다는 마음가짐으로 평소 경각심을 가지고 주의를 기울여 혹시 모를 상황에서 나와 가족, 주변 사람들에게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평소 뉴스를 통해 보이스피싱 사례, 예방법 등을 숙지하여 예방하는 것만이 가장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생활 속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카카오 먹통 보상, 이모티콘 (0) | 2022.12.29 |
---|---|
가습기 종류 및 장단점 (0) | 2022.12.29 |
제설제 강아지가 밟으면 화상? 오해와 진실 (0) | 2022.12.21 |
2023년 서울시 출산 혜택 모음 (0) | 2022.12.18 |
주정차 뺑소니 사고 CCTV 확인방법 (0) | 2022.12.17 |